JDK : 자바 코드의 번역과 실행을 담당하는 자바 개발 도구
start.spring.io 에서 Artifact = 프로젝트 이름
빌드(Build) =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독립적인 형태로 만드는 것
→ 프로젝트를 빌드 = 독립된 파일이 생성되고 이를 실행해 프로젝트에 작성한 기능들 이용가능해짐
메타데이터 : 컴파일 및 실행과정에서 코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알려주는 추가 정보
템플릿화한다 : 코드를 하나의 틀로 만들어 변수화한다
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구조
- java = 자바 코드 저장
- resources = 외부 파일 저장
+) localhost 의 ip주소 = 127.0.0.1
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
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서버의 응답으로 동작
웹 브라우저(클라이언트) ←→ 스프링 부트(서버)
톰캣 = 웹 서버
스프링 부트는 톰캣에 담겨 실행된다
뷰 템플릿 (View Template) = 뷰
: 웹 페이지(View)를 하나의 틀 (template)로 만들고 여기에 변수를 삽입해 서로 다른 페이지로 보여줌
컨트롤러 (Controller)
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는 역할
모델 (Model)
: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
모델에서 변수 등록
model.addAttribute("변수명", 변수값); //변수값을 "변수명"이라는 이름으로 추가
여기서의 model 객체는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생성되는 일회성 객체!!
-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HTTP 요청을 처리할 때 스프링이 해당 요청을 위해 model 객체를 하나 만들어줌
- 그 메서드가 리턴되고, View로 넘어갈 때까지만 살아있고, 요청 처리 이후에는 사라짐
- 오로지 View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
입력 폼과 DTO 필드 연결
DTO 필드명과 동일한 이름을 name의 속성 값으로 써 주면 입력 폼에서 작성한 두 데이터가 DTO의 해당 필드와 연결됨
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받을 때 DTO(데이터를 담을 그릇) 에 담아 받음
<form 태그>
- action : 어디에 보낼 지
- method : 어떻게 보낼 지
JPA (Java Persistence API)
: 자바 언어로 DB에 명령을 내리는 도구 - 객체 지향적으로 데이터 관리 용이
- 엔티티 : 자바 객체를 DB가 이해할 수 있게 만든 것. 이를 기반으로 테이블 생성
- 레포지토리 : 엔티티가 DB 속 테이블에 저장 및 관리 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
JPA에서 제공하는 레포지토리 인터페이스 ::: 엔티티를 관리(생성, 수정, 조회, 삭제)
CrudRepository<T, ID>
- T : 관리 대상 엔티티의 클래스 타입
- ID : 관리 대상 엔티티의 대푯값 타입
출처
https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119952151
코딩 자율학습 스프링 부트 3 자바 백엔드 개발 입문 - 예스24
스프링 부트 백엔드 개발,실습 문턱을 낮추고 자신 있게 시작하자!스프링 부트를 처음 접하는 입문자와 이미 공부했지만 부족하다고 느끼는 분들을 위한 책입니다. 게시판을 만들며 클라이언트
www.yes24.com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본 생성자 (0) | 2025.04.16 |
---|---|
연관관계 매핑(2) (1) | 2025.04.13 |
연관관계 매핑(1) (0) | 2025.04.05 |
내 첫 스프링 CRUD 만들기 (0) | 2025.04.04 |
이펍 세미나(1) (0) | 2025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