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념 요약
프론트엔드가 요청을 보낼 시 사용 가능한 HTTP 메소드 + URL의 조합 = '엔드포인트'
→ HTTP 메소드 : API 설계시 데이터 또는 리소스에 대한 행동들을 HTTP 메소드로 구분함
→ URL = 리소스에 대한 정보
API = 엔드포인트의 모음
node.js = 웹 브라우저 바깥에서 자바스크립트 실행하는 환경
API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 바깥에서 실행됨
Express : 라이브러리 / 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쉽게 할 수 있게 해줌 + 다른 라이브러리에 비해 틀정 구조 고집하지 안혹 최소한의 기능들만 제공
mongoDB :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고 문서 형태로 저장(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)
→ 문서 하나 : 도큐먼트 / 문서의 모음 : 컬렉션; 셋업 과정이 간단하고 도큐먼트 다루는 방법이 직관적임
라우트 : 특정 엔드포인트를 담당하는 코드
PATCH vs PUT
데이터 수정할 때 사용하는 함수
○ PATCH
데이터 부분 수정 시 사용. 기존 데이터에서 리퀘스트 바디로 전달되는 필드들만 수정
○ PUT
데이터를 아예 새로운 데이터로 덮어쓸 떄 사용. 따라서, 리퀘스트 바디로 아예 덮어쓸 데이터(객체)를 전달해야 함
request handler : 리퀘스트 처리함
▷ 인수 : req (리퀘스트 객체) / res (리스폰스 객체)
res.send에 아규먼트로 전달하는 배열 :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이루어짐
: res.send 객체는 아규먼트로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받으면 이를 json으로 변환해서 이를 돌려줌
response로 돌아오는 데이터 : json 문자열 (: 인터넷으로 데이터 전송 시 보통 이용)
→ 프로퍼티 주변 " " + 마지막 요소 뒤에 , 있으면 안됨 + Date 객체도 문자열로 전달
* response body의 내용을 보낼 때는 내용이 어떤 타입인지를 말해주는 content-type header 설정해주는 것이 좋음
쿼리 파라미터 → 쿼리 라는 객체에 전달됨 **이때 모두 문자열로 전달됨
다이나믹 URL
: URL이 항상 일정하지 않고 일부가 바뀌는 것
→ 바뀌는 부분 = ' : ' 으로 표시 = URL 파라미터 ; request params라는 객체로 전달됨
→ URL 파라미터도 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전달됨
json을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바꾸어 주는 과정 = 파싱
→ 파싱을 하려면 express.json() 함수 사용해야함
res.sendStatus(상태코드)
: 리스폰스로 바디 없이 상태코드만 보냄
Mongoose
: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MongoDB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
시딩 : 데이터베이스에 초기 데이터를 넣는 과정
시드 데이터 : (데이터 베이스에 사용하는) 초기 데이터
mock 데이터 : 일반적인 test 데이터, 초기 데이터
유효성 검사 : 사용자가 전달한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인지, 필요한 정보가 모두 있는지 확인
'Code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주차 (0) | 2024.07.26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 사용하기 (1) | 2024.07.17 |
또 봐도 새로운 git/github (1) | 2024.07.06 |
유닉스 커맨드 (0) | 2024.07.04 |
web_기초 (0) | 2024.06.19 |